반응형
국내 포털 사이트 네이버(Naver)의 도메인을 본따서 유사하게 만들어진 사이트 중에 Never라는 곳이 있습니다.
일종의 인터넷 이용자가 네이버로 접근을 하기 위해 주소 표시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하는 경우 뜻하지 않는 사이트로 연결되는 부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정도가 지나치면 눈살을 찌푸릴 때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초기 방문한 사람의 경우 해당 페이지를 보고 느끼는 점은 "어?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페이지인가?" 하고 생각하게 만든다는 점입니다.
실제 해당 페이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Naver 로고를 클릭할 경우 정상적인 네이버 포털 사이트로 연결이 되고 있으며, 옆의 네이버스토리를 클릭할 경우에는 네이버의 특정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최종적인 목표인 그림에서 제공하는 go 버튼을 클릭할 경우 온라인 판매 사이트 인터파크(Interpark)의 특정 도서 판매 페이지로 연결이 되는 것입니다.
마치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광고처럼 사용자의 눈을 속이는 것이 아닐까도 생각이 듭니다.

특히 해당 페이지를 상당시간 유지를 하고 있으며, 메타 태그(Meta Tag)를 이용하여 해당 도서와 관련된 웹 사이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해당 사이트 도메인 정보를 확인해보면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아닌 특정 등록인이 1999년 등록하여 이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낙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모니터를 통해서 시각적인 부분을 자극하는 전달매체이지만 최소한 하단에 해당 페이지는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아니라는 문구는 삽입해 두는 것이 예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일종의 인터넷 이용자가 네이버로 접근을 하기 위해 주소 표시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하는 경우 뜻하지 않는 사이트로 연결되는 부분을 이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정도가 지나치면 눈살을 찌푸릴 때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초기 방문한 사람의 경우 해당 페이지를 보고 느끼는 점은 "어?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페이지인가?" 하고 생각하게 만든다는 점입니다.
실제 해당 페이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Naver 로고를 클릭할 경우 정상적인 네이버 포털 사이트로 연결이 되고 있으며, 옆의 네이버스토리를 클릭할 경우에는 네이버의 특정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최종적인 목표인 그림에서 제공하는 go 버튼을 클릭할 경우 온라인 판매 사이트 인터파크(Interpark)의 특정 도서 판매 페이지로 연결이 되는 것입니다.
마치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광고처럼 사용자의 눈을 속이는 것이 아닐까도 생각이 듭니다.
특히 해당 페이지를 상당시간 유지를 하고 있으며, 메타 태그(Meta Tag)를 이용하여 해당 도서와 관련된 웹 사이트로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해당 사이트 도메인 정보를 확인해보면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아닌 특정 등록인이 1999년 등록하여 이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낙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모니터를 통해서 시각적인 부분을 자극하는 전달매체이지만 최소한 하단에 해당 페이지는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아니라는 문구는 삽입해 두는 것이 예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728x90
반응형
말씀대로 네이버 서비스가 아니란 것 표시만 해두어도 좋았을 것을..
go 버튼 역시 네이버의 색깔을 가진 것이 너무 티나게 만든 것 같아요.
하하~ ^^ 도메인하나 죽이네요 ^^
좋은 도메인은 이런 블로그에서까지 소개가 되잖아요.^^
url 하나 잘 잡아서 사용자를 은근슬쩍 속여 주네요 ㅎㅎ
위와 같은 경우는 문제가 있다보여지지만 유사 도메인을 이용한 돈벌이는 구글에서도 아예 저런 유사 도메인을 이용한 애드센스 광고를 제공하고 있으니.. 뭐라하기도 좀 그런 것 같습니다. -_-;
경기가 안좋아서 추가된 것인지는 몰라도 도메인 애드센스는 영 아닌 것 같더군요. ~_~
도메인 애드센스는 남아도는 무의미한 부분을 금전적으로 승화시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ㅋㅋ
어엇! 제가 구글님의 깊은 생각을 미처 읽지 못했네요. ㅋㅋ
구글신 왈.. 놀면 뭐해? 돈벌어~ㅎㅎ
보니까 착각을 할수가 있겠네요.네이버가 아니고 네버? 정말 끝네주는 도메인이네요^^
제가 몇일전에 잘못쳐서 들어갔따가 낚일 뻔했습니다..
순간적으로 "음? 이건 뭐지?" 라면서 클릭을 하려는
저를 발견하게 되더군요 -_-ㅋㅋ
비밀댓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시 그랬군요. 잘 처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ever.co.kr을 치고 들어간 사람이 일단 잘못인것 같습니다..ㅎ
네이버를 가려고 했다면, naver.com을 쳤을텐데..
never.com도 아니고, co.kr을 치고 들어갔다면..
그 사람이 그 도메인을 자기 돈으로 유지하고 있을텐데,
남들이 그 사람에게 네이버가 아니란 얘기까지 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네이버가 아니라면 네이버 상표와 연결 서비스를 하지 말았어야 된다고 봅니다.
실제 해당 사이트가 네이버가 아니라는 것을 아는 사람도 사이트 구성을 봐서는 긴가민가 했을겁니다.
never.co.kr의 운영자는 아마도 그 도메인이 naver.com의 오타라고 생각하고 있는 모양입니다..ㅎ
사실 naver를 우리는 '네이버'라고 부르지만,
그렇다고 해서, 네이버라는 발음을 모두 naver.com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단정할수가 없습니다.
neighbor라는 단어는 발음이 네이버입니다.
www.neighbor.pe.kr
여기도 네이버가 맞습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