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새::Analysis

툴바(Toolbar)를 이용한 제휴 마케팅 제대로 알려라.

반응형
개인적으로 툴바(Toolbar) 형태의 프로그램을 선호하지 않는 관계로 이런 프로그램을 통한 마케팅에 대해 관심이 없었으며, 특히 국내에서 서비스하는 툴바는 오랫동안 설치하지 않았기에 최근 확인한 툴바를 이용한 제휴 마케팅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의 핵심은 해당 마케팅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닌 마케팅을 실제 툴바를 설치하고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대로 인지를 시키고 있는지 여부와 유료 서비스의 옵션으로 들어가면서 부가 창출을 노리는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예를 들기 위해 사용된 국내 모 공유 사이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모자이크 처리하였음을 밝힙니다.


특정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해당 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용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 과정에서 제공되는 이용약관에서는 공유 서비스에 대한 각종 정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설치된 프로그램의 동작은 해당 프로그램의 회원가입과 로그인 과정을 통하여 각종 공유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실제 해당 서비스를 본인이 이용하지 않는 관계로 로그인을 통한 그 이후의 동작에 대해 확인할 수 없었지만, 해당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 내에는 위와 같이 특정 탭/툴바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파일이 존재합니다.

초기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전혀 언급이 없었으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탭/툴바 프로그램이 동작을 시작하게 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테스트를 위해 해당 파일을 수동으로 동작하여 보면 위와 같이 탭/툴바 프로그램을 설치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이용약관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이용약관은 툴바 프로그램과 탭툴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분리하여 제시하고 있으며, 툴바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해당 공유 업체에서 서비스를 하는 것이고 탭툴바는 외부 업체의 서비스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유 업체에서 서비스하는 툴바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약관 일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 7 조 [소프트웨어 및 추가 서비스 기능]

① 본 “소프트웨어”는 웹 사이트의 사용된 검색결과와 타 사이트의 검색결과와 비교, 분석 할 수 있게 해서 사용자가 보다 쉽게 타 사이트 검색결과를 볼 수 있게 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웹 사이트의 문맥 형태소를 분석하고 주요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노출시키고, 사이트별 비교검색, 추천검색, 연관순위 사이트, 인기검색어 등의 노출로 사용자의 웹 서핑을 편리하게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② 본 “소프트웨어”는 검색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웹 서핑 또는 검색 시 사용자의 검색 목적에 맞추어 입력된 키워드나 형태소 분석된 주요 키워드의 결과를 탭브라우저 및 툴바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손쉽게 웹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③ 본 “소프트웨어”는 웹사이트의 컨텐츠 및 검색키워드를 매칭하여 자동으로 웹사이트를 연결할 수 있는 컨텐츠 매칭 자동오픈 웹페이지, 자동완성 바로가기, 툴바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해당 내용에서는 툴바 서비스를 통한 검색 결과를 제시 및 사이트 연결을 도와주는 서비스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실제 탭/툴바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초기 IE에 접속시 위와 같이 공유 업체에서 서비스하는 툴바는 자동으로 활성화 되어 있으며, 외부 업체의 탭툴바는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선택을 하여 활성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툴바의 메뉴 구성을 보시면 온라인 쇼핑몰 G마켓옥션 바로가기 버튼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 옥션 버튼을 클릭하면 과연 어떤 경로를 이용하여 서비스가 되지는 확인해 보았습니다.

초기 옥션 버튼을 클릭시 자동으로 입력된 제휴 마케팅 서비스 클릭스토리(ClickStory)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옥션 사이트가 출력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위의 별표(★) 주소를 보시면 파트너(Partner) 정보가 추가되어 실제 사용자가 해당 툴바를 클릭하여 쇼핑몰을 이용할 경우 자신도 모르게 최종적으로는 해당 툴바를 서비스하는 업체에 일정한 금전적 혜택이 주어지는 것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즉, 클릭스토리의 제휴 마케팅 정보로 표현을 하면 Affiliate 입장은 공유 업체는 클릭스토리와 제휴 마케팅 계약을 통하여 사용자가 공유 업체의 광고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시 최종적으로 클릭스토리와 계약을 맺은 Merchant의 물건을 구매시 일정 비율의 수익금을 Affiliate인 공유 업체에 지급하는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 봐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료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설치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추가적인 광고성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이용약관의 동의 과정을 거치지만 위와 같은 제휴 마케팅의 수익 배분 구조에 대한 언급이 없이 프로그램을 검색과 관련된 것처럼 일부 내용만 제시하고 설치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해당 툴바로 인하여 사용자가 특정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자신도 모르게 입력된 코드로 인하여 자신의 구매 활동이 추가적으로 해당 공유 서비스에 입력이 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와 같이 일부 사용자는 해당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툴바가 설치되어 쇼핑몰로 접근시에도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일종의 불로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전에 언급한 아프리카 서비스에서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에 대해 비판을 하면서도 당시 아프리카 서비스에서는 해당 광고 아이콘을 클릭하여 접근시 상단에 광고 중개업자 표시를 분명히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인지를 할 수 있는 최종적인 여지를 남겼기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살펴보는 이런 류의 툴바에서 제공하는 제휴 마케팅의 경우 제대로 사용자에게 인지를 시키지 않으며 초기 설치시 제공되는 이용약관 역시 포괄적인 내용에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서비스를 언급하면서 부가적인 수익 창출에 대한 분명한 문구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다는 점은 자칫 사용자 몰래 수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툴바를 통해 특정 서비스와 제휴 마케팅을 하는 것은 충분히 인정할 수 있는 범위의 영업 활동입니다. 하지만 그로 인한 수익 창출에 대한 부분과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도 적용되는 부분은 분명히 선을 그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는 해당 툴바에 대한 정보는 추가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는 점(제가 못 찾았을 정도로 깊숙히 있을 수 있습니다.) 역시 생각해 볼 대목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