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외 InCode Solutions 업체에서 서비스하는 악성코드 치료 프로그램 RemoveIT Pro v4 - SE 제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제 기억으로는 2000년대 중반경 국내 공개 자료실에 등록이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특히 해당 업체에서 주장하는 유명 보안제품에서 진단되지 않는 각종 악성코드를 찾아낸다는 문구를 내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외에 검역소, 보고서 등의 메뉴가 제공되고 있는 형태로 상당히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제 해당 제품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서 악성코드가 존재한지 확인을 해 보겠습니다.
진단한 항목을 살펴보면 국내에서 제작한 보안제품 하우리(Hauri) 관련 파일 및 이스트소프트(ESTSoft)사의 압축 프로그램 알집 등을 진단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파일도 진단하는 등 세계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파일이나 파일에 서명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대해 진단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분명한 부분은 유명 보안제품에서 진단하지 않는 악성코드라는 의미는 결국에는 악성코드 진단 정책의 차이에서 오는 부분과 이 제품과 같은 규모가 작은 프로그램이 다양한 파일에 대한 검증 및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진단하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몇 년동안 공개 자료실에 해당 프로그램이 등록되고 있는 현실에서 무료 보안제품이며, 해당 자료실에서도 다운로드 서비스가 된다고 너무 신뢰를 할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진단하는 파일을 실제 치료(Fix)를 할 경우 일부 응용 프로그램의 비정상적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프로그램보다는 신뢰할 수 있는 보안제품을 통해 실시간 감시를 활성화하여 컴퓨터를 보호하시길 추천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제 기억으로는 2000년대 중반경 국내 공개 자료실에 등록이 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고, 특히 해당 업체에서 주장하는 유명 보안제품에서 진단되지 않는 각종 악성코드를 찾아낸다는 문구를 내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Locates & Removes many new dangerous files including Spyware, Malware, Virus, Worms, Trojan's and Adware that other popular AV programs do not find.
메인 화면
Process Manager
Services Manager
Startup Files
그 외에 검역소, 보고서 등의 메뉴가 제공되고 있는 형태로 상당히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제 해당 제품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서 악성코드가 존재한지 확인을 해 보겠습니다.
[RemoveIT Pro v4 - SE 진단 내역]
Infected file (Sys32.grdmgr) C:\WINDOWS\system32\grdmgr.exe - 나우콤 캐쉬 매니저
Infected file (Sys32.grdupdater) C:\WINDOWS\system32\grdupdater.exe - 나우콤 Grdmgr Updater
Infected file (Sys32.hldown) C:\WINDOWS\system32\hldown.dll - 하우리 VrDown DLL
Infected file (Sys32.hldown1) C:\WINDOWS\system32\hldown1.dll - 하우리 VrDown DLL
Infected file (Sys32.hspylib) C:\WINDOWS\system32\hspylib.dll
Infected file (Sys32.madchook) C:\WINDOWS\system32\madchook.dll
Infected file (Sys32.pdbox28) C:\WINDOWS\system32\pdbox28.exe - 나우콤 PDBOX File Transfer Manager
Infected file (Sys32.pthreadvc) C:\WINDOWS\system32\pthreadvc.dll
Infected file (Sys32.vrazace) C:\WINDOWS\system32\vrazace.dll
Infected file (Sys32.vrazmain) C:\WINDOWS\system32\vrazmain.dll - 이스트소프트 ALZip Dynamic Link Library (HAURI)
Infected file (Sys32.vrazrar) C:\WINDOWS\system32\vrazrar.dll
Infected file (Sys32.vrvd302) C:\WINDOWS\system32\vrvd302.dll - Virtual Remote Video Driver(VRVD303)
Infected file (Sys32.xmaninf) C:\WINDOWS\system32\xmaninf.exe
Infected file (Sys32.ifinst27) C:\WINDOWS\ifinst27.exe
Infected file (Sys32.wininet) C:\WINDOWS\ie8updates\kb969897-ie8\wininet.dll - 마이크로소프트 Internet Explorer 업데이트 관련 파일
Infected file (Sys32.rpcapd) C:\Program Files\winpcap\rpcapd.exe
Infected file (Sys32.grdmgr) C:\WINDOWS\system32\grdmgr.exe - 나우콤 캐쉬 매니저
Infected file (Sys32.grdupdater) C:\WINDOWS\system32\grdupdater.exe - 나우콤 Grdmgr Updater
Infected file (Sys32.hldown) C:\WINDOWS\system32\hldown.dll - 하우리 VrDown DLL
Infected file (Sys32.hldown1) C:\WINDOWS\system32\hldown1.dll - 하우리 VrDown DLL
Infected file (Sys32.hspylib) C:\WINDOWS\system32\hspylib.dll
Infected file (Sys32.madchook) C:\WINDOWS\system32\madchook.dll
Infected file (Sys32.pdbox28) C:\WINDOWS\system32\pdbox28.exe - 나우콤 PDBOX File Transfer Manager
Infected file (Sys32.pthreadvc) C:\WINDOWS\system32\pthreadvc.dll
Infected file (Sys32.vrazace) C:\WINDOWS\system32\vrazace.dll
Infected file (Sys32.vrazmain) C:\WINDOWS\system32\vrazmain.dll - 이스트소프트 ALZip Dynamic Link Library (HAURI)
Infected file (Sys32.vrazrar) C:\WINDOWS\system32\vrazrar.dll
Infected file (Sys32.vrvd302) C:\WINDOWS\system32\vrvd302.dll - Virtual Remote Video Driver(VRVD303)
Infected file (Sys32.xmaninf) C:\WINDOWS\system32\xmaninf.exe
Infected file (Sys32.ifinst27) C:\WINDOWS\ifinst27.exe
Infected file (Sys32.wininet) C:\WINDOWS\ie8updates\kb969897-ie8\wininet.dll - 마이크로소프트 Internet Explorer 업데이트 관련 파일
Infected file (Sys32.rpcapd) C:\Program Files\winpcap\rpcapd.exe
진단한 항목을 살펴보면 국내에서 제작한 보안제품 하우리(Hauri) 관련 파일 및 이스트소프트(ESTSoft)사의 압축 프로그램 알집 등을 진단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파일도 진단하는 등 세계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파일이나 파일에 서명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 대해 진단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분명한 부분은 유명 보안제품에서 진단하지 않는 악성코드라는 의미는 결국에는 악성코드 진단 정책의 차이에서 오는 부분과 이 제품과 같은 규모가 작은 프로그램이 다양한 파일에 대한 검증 및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진단하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몇 년동안 공개 자료실에 해당 프로그램이 등록되고 있는 현실에서 무료 보안제품이며, 해당 자료실에서도 다운로드 서비스가 된다고 너무 신뢰를 할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진단하는 파일을 실제 치료(Fix)를 할 경우 일부 응용 프로그램의 비정상적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프로그램보다는 신뢰할 수 있는 보안제품을 통해 실시간 감시를 활성화하여 컴퓨터를 보호하시길 추천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