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 보안업체 안철수연구소(AhnLab)에서 제공하는 무료 웹 보안 프로그램 사이트가드(SiteGuard) 제품을 사용하다보면 검색 사이트의 검색 위치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의 동작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의 가장 큰 핵심인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시 검색 결과로 표시되는 링크에 대해 사이트 접근 전에 사이트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다음의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은 매우 문제가 되지 않나 싶습니다.(해당 문제는 개인적인 컴퓨터 환경으로 인한 문제일 수 있음을 밝힙니다.)

예를 들어, 구글 코리아(Google Korea) 메인 페이지에서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시 그림과 같이 해당 검색 결과 항목별로 사이트가드 제품의 안전도 측정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검색 위치를 [google.com in English]로 변경을 한 상태에서 동일한 검색어를 입력시에는 사이트가드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문제는 Internet Explorer 7 버전부터 제공되는 검색 공급자에서 구글을 추가한 상태로 해당 검색어를 입력시 표시되는 검색 결과값에도 사이트가드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특이 이 기능의 경우 Internet Explorer의 고유 기능임을 감안한다면 실질적으로 사이트가드 본연의 기능은 반쪽짜리도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국내 검색 사이트에 대한 서비스 중심으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보이는 해당 문제점은 수정이 필요해 보이며, 인터넷 사용자들이 국내 검색 사이트만 이용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해당 프로그램의 가장 큰 핵심인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시 검색 결과로 표시되는 링크에 대해 사이트 접근 전에 사이트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다음의 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은 매우 문제가 되지 않나 싶습니다.(해당 문제는 개인적인 컴퓨터 환경으로 인한 문제일 수 있음을 밝힙니다.)
예를 들어, 구글 코리아(Google Korea) 메인 페이지에서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시 그림과 같이 해당 검색 결과 항목별로 사이트가드 제품의 안전도 측정이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검색 위치를 [google.com in English]로 변경을 한 상태에서 동일한 검색어를 입력시에는 사이트가드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 문제는 Internet Explorer 7 버전부터 제공되는 검색 공급자에서 구글을 추가한 상태로 해당 검색어를 입력시 표시되는 검색 결과값에도 사이트가드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특이 이 기능의 경우 Internet Explorer의 고유 기능임을 감안한다면 실질적으로 사이트가드 본연의 기능은 반쪽짜리도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국내 검색 사이트에 대한 서비스 중심으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보이는 해당 문제점은 수정이 필요해 보이며, 인터넷 사용자들이 국내 검색 사이트만 이용한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구글컴에서 안뜨는 것은 사이트가드가 구글컴 지원 안하는게 맞는 것 같고요 . 사이트가드의 또 한가지 헛점은 사이트 가드는 자신이 검사해보지 않은 사이트는 - 즉 , 위협이 있다고 밝혀지지 않은 사이트는 모두 녹색 표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이는 McAfee 사이트 어드바이저가 검사하지 않은 사이트를 회색으로 표시하는 것과 좀 대비되는 사항이죠 ....그래도 실제적인 실시간 웹보안 프로그램이라는데는 큰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
확실히 해외 유사 서비스는 History 기능을 통한 것이라 현재 시점과 다른 결과를 볼 수 있어 장단점이 될 수 있어 사이트가드가 이런 면에서 좋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동일 검색 사이트에서 이런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은 너무 제한적 검색 허용이라 모르는 분들은 실망할 것 같습니다.
오 이런 경우가 있었군요.
점점 보완되길 바랄 뿐입니다.^^
이런 부분과 파폭 지원까지 된다면 인지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고 봅니다.
IE만이라도 완벽 지원해주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위에 글벌레님이 언급하신 부분 중, 자신이 검사해보지 않은 사이트는 회색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두 녹색으로 표시된다는 부분은 일부만 그렇다면 모르겠으나 전부는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최신 버전이 상당히 빠르게 검사를 하는 것 같은데, 회색으로 표시되는 것은 거의 안보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