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외 보안제품 AVG가 국내 메신저 네이트온(NateOn) 프로그램의 부속 파일 일부에 대해 오진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진단으로 인하여 AVG 사용자는 현재 NateOn 메신저 실행, 메신저를 이용한 이메일 사용 등을 할 수 없습니다.
다음 업데이트가 추가된 후 해당 파일에 대한 진단 여부를 재확인하시고 예외 처리된 목록을 제거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 AVG 업체에 해당 파일에 대한 오진 신고를 한 상태임을 밝힙니다.
[상세 정보]
● 진단 파일명 : XecureIO.dll (MD5 : c60a42ba3014325564ebc3fb6d471791)
● 진단명 : Generic16.GBU (Anti-Virus DB : 270.14.118/2584)
● 세부 경로
C:\Program Files\NATEON\BIN\XecureIO.dll
● 진단 파일명 : SLDB.dll (MD5 : d73597e5fc0b8610b87a2bd3f6e42eff)
● 진단명 : Generic16.GBW (Anti-Virus DB : 270.14.118/2584)
● 세부 경로
C:\Program Files\NATEON\BIN\SLDB.dll
C:\Program Files\NATEON\Addin\37A90507-CF63-49D8-8E1E-F32E4A869CB8\SLDB.dll (통합 메시지함 플러그인)
C:\Program Files\NATEON\Addin\D3D97AF7-1B96-4992-BFF1-BF2D36852DE4\SLDB.dll (TalkSMS 플러그인)
C:\Program Files\NATEON\Addin\D8558182-2209-4DBC-BFDF-500ED12625BF\SLDB.dll (MailViewer 플러그인)
C:\Program Files\NATEON\Temp\Temp.zip (임시폴더 압축 파일)
- C:\Program Files\NATEON\Temp\Temp.zip\BIN\SLDB.dll
● 진단 파일명 : XecureCSP.dll (MD5 : aef90c4bd4874c504d6f235bd6c072a2)
● 진단명 : Generic16.GBX (Anti-Virus DB : 270.14.118/2584)
● 세부 경로
C:\Program Files\NATEON\BIN\XecureCSP.dll
● 진단 파일명 : XecureIO.dll (MD5 : c60a42ba3014325564ebc3fb6d471791)
● 진단명 : Generic16.GBU (Anti-Virus DB : 270.14.118/2584)
● 세부 경로
C:\Program Files\NATEON\BIN\XecureIO.dll
● 진단 파일명 : SLDB.dll (MD5 : d73597e5fc0b8610b87a2bd3f6e42eff)
● 진단명 : Generic16.GBW (Anti-Virus DB : 270.14.118/2584)
● 세부 경로
C:\Program Files\NATEON\BIN\SLDB.dll
C:\Program Files\NATEON\Addin\37A90507-CF63-49D8-8E1E-F32E4A869CB8\SLDB.dll (통합 메시지함 플러그인)
C:\Program Files\NATEON\Addin\D3D97AF7-1B96-4992-BFF1-BF2D36852DE4\SLDB.dll (TalkSMS 플러그인)
C:\Program Files\NATEON\Addin\D8558182-2209-4DBC-BFDF-500ED12625BF\SLDB.dll (MailViewer 플러그인)
C:\Program Files\NATEON\Temp\Temp.zip (임시폴더 압축 파일)
- C:\Program Files\NATEON\Temp\Temp.zip\BIN\SLDB.dll
● 진단 파일명 : XecureCSP.dll (MD5 : aef90c4bd4874c504d6f235bd6c072a2)
● 진단명 : Generic16.GBX (Anti-Virus DB : 270.14.118/2584)
● 세부 경로
C:\Program Files\NATEON\BIN\XecureCSP.dll
해당 진단으로 인하여 AVG 사용자는 현재 NateOn 메신저 실행, 메신저를 이용한 이메일 사용 등을 할 수 없습니다.
다음 업데이트가 추가된 후 해당 파일에 대한 진단 여부를 재확인하시고 예외 처리된 목록을 제거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 AVG 업체에 해당 파일에 대한 오진 신고를 한 상태임을 밝힙니다.
728x90
반응형
왜 네이트온이 바이러스에 걸렸나 싶었더니, 이런 문제가 있었군요. 많은 도움 됐습니다.
오늘 새벽까지는 정상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아마 오늘자 정기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문제 같습니다.
다른 악성코드 파일로 인한 유사성이 있나 봐요.
감사합니다. 아침부터 깜놀 했네요
저도 네이트온을 실행하다가 갑자기 진단창이 떠서 깜짝 놀랐습니다.
AVG 제품은 하루에 한 번씩은 오진 파일을 발견하는 것 같습니다.ㅎ
글 감사합니당..
그런데 진단 여부 재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이 절차를 안밟으면 언제쯤 네이트온을 정상적으로 사용할수 있나요?
나중에 제품의 DB 업데이트가 진행된 후 해당 파일에 대한 예외 처리를 푸시고, 파일 경로에 접근하여 검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일단 예외 처리를 하시면 정상적으로 네이트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재확인을 하려는 의미는 현재처럼 예외 처리를 하였는데 다른 바이러스로 인해 해당 파일이 실제 감염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에 업체에서 오진으로 판단하여 진단을 하지 않는다면 구지 사용자가 해당 파일에 대해 예외 처리를 해서 보안상 구멍을 남길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제외처리를 하시고 적용을 하시면 정상적으로 진단하지 않습니다.
단지 네이트온 플러그인 중에 제가 설치한 플러그인 이외의 폴더에 추가적으로 해당 오진 파일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진단되는 창에 보시면 해당 파일 경로가 나옵니다. 그것을 확인하시고 진단창의 "파일로 이동" 버튼을 통해 정확한 경로 확인을 하시고 제외 목록에 추가해 보시기 바랍니다.
외국 제품은 한글판이 나와도 오진은 사용자가 염두해두어할 부분 같습니다. 국내에 소규모의 대응팀이라도 있다면 유명한 제품들에 대한 오진은 줄일 수 있을 터인데 말이죠.
이번 오진을 통해 블로그로 유입되는 건을 보니 국내 AVG 사용자가 은근히 많은 것 같습니다.
저거 실시간 감시 고급 옵션에서 지능형 방식 사용 안하면 진단 안할거 같은데요 ? 진단명 보니까요 . 저는 지능형 방식 사용 옵션을 사용중이지만 자동 치료 옵션은 껐기 때문에.......컴퓨터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용자들은 자동 치료 옵션을 off로 하는게 좋단 생각이 듭니다 .....
자동 치료는 당연히 어느 제품이나 활성화된 것은 끄고 하는게 올바른 선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AVG도 오진 대열에 합류했네요...
요즘은 백신의 오진을 두려워하기보다는, 사용자가 오진을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용자가 오진에 대한 대처 방법도 어느 정도는 알아두면 편하겠죠.
특히 이런 문제는 빨리 해당 업체에 오진 신고를 하는 것도 중요한 해결 방법이라고 봅니다.
모르고 저장소로 보내버린거같은데 복원해두 안되구요.. 예외관리에 nateon 전체폴더를 경로로 설정해도 막혀버리네요 써글 ㅡㅡ.. 해결해주실수잇나요 ?..
네이트온을 진단해서 문제가 있다는 말씀인가요? 확인해 보겠지만 문제가 있다면 재설치를 하시는게 빠를 것으로 보이고 오진 신고를 통해 문제 해결을 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아무튼 확인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