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0년 12월 12일경 안철수연구소(AhnLab) V3 보안 제품에서 인터넷 사이트 중 구글(Google) 광고가 포함된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JS/Agent 진단명으로 진단하는 오진이 확인 되었습니다.
해당 진단은 구글 광고가 추가된 인터넷 사이트에 추가된 구글 통계 관련 스크립트 ga.js 파일을 오진하는 것으로 최근 F-Secure 보안 업체에서 Adware.smartad.d 진단명으로 동일한 오진 사고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글 관련 스크립트는 종종 오진을 유발하는 스크립트가 발생하는데, 현재 AhnLab V3 보안 제품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인터넷 사이트 방문시 JS/Agent 진단명으로 진단될 경우 치료 버튼을 클릭하여 계속 이용하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참고로 해당 진단명은 이번 오진 관련 파일만 진단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악성 스크립트도 진단하는 포괄적 진단명이므로 이번 진단명이 무조건 오진으로 판단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아... 오진이였군요~
그렇다면 이거 그냥 자동치료만 해놓고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거겠죠?
저 이것때문에 한시간째 여기저기 뒤적이고 있었는데 정말 정보 감사드립니다.
돌아오는 주도 좋은 일만 가득하세요!
해당 파일을 삭제한다고 해당 페이지에 문제가 되는 것은 없습니다.^^
안랩이 JS파일을 오진 했군요.
구글 통계관련 스크립트오진이라고 하니 올해 1월에 카스퍼스키가 구글 에드센스 오진이 떠오르네요.ㅎㅎ
네~ 저도 예전 오진 사고가 생각납니다.^^
오 감사합니다ㅠ 이거때문에 이것저것 다 해봤는데ㅠㅠ
걱정할게 아니군요 ㅎㅎ
문제는 저 진단명으로 실제 악성 스크립트를 진단하므로 진단 제외 처리를 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조만간 안연구소에서 오진 문제를 해결해 주겠죠.^^
감사합니다. ㅠㅠ
에구..ㅠㅠ 많은 분들이 놀라신 것 같습니다.
블로그 들어갈때마다 자꾸 바이러스라고 떠서 포맷해야되나, 하고 걱정중이었는데, V3의 오진이었군요ㅋ
벌새님 포스팅 덕분에 안심하고 돌아갑니다ㅋ
감사합니다.^^
ja/agent
찾아도 정보가 얻기힘들어서 난감했는데
여기들러서 안심하게되었네요 ( '▽')~
아마 오진 발생 기간이 저녁/휴일이라서 대응이 느린 것 같습니다.
저도 뭔가 해서 삭제했는데 문제는 없군요.
안랩에 신고해줘야 겠네요.
아마 오진 신고는 무척 들어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럼 해결방안은 아직 없는건가요? 자꾸 창 새로 뜰 때마다 떠서 귀찮아요. 자동치료체크 말고 해결방안은 아직 안나온건가요?
진단명을 제외 처리를 하시면 실제 악성 스크립트를 진단할 수 없으므로 그냥 치료를 하시길 권장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따라 바이러스 감염이 왜이리 많이 되나 했어요. 걱정 안해도 되겠네요.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하니 업데이트를 체크하여 최신 업데이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현 시간 부로 엔진에서 진단 제외 완료 하였습니다.
우선 미리 정보를 제공해 주신 벌새님께 감사드리며, 또한 V3 제품 사용자 분들께 오진으로 불편을 겪게 해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십시오.
해결이 되었군요. 수고하셨습니다.^^
오진이 조금 잦은 것 같다는 느낌은 저만의 생각인가요 ^-^;;
개인적으로는 예전보다는 줄어든 느낌입니다.^^
피망 사이트에 접속하자마자 저녀석이 뜨더군요 .. ASD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됩니다.
이런거 였다니..ㅡㅡ;;;이미 늦었습니다...
포맷했음...;;;ㅋㅋ
헐.. 그냥 바로 포멧을 하셨군요.^^;;
안랩은 조용하다 꼭 하나씩 해주는(?)게 있네요 ^^;;
매일 시끄러우면 안되죠~ㅎㅎ
으잉 진단 제외 했다는 데도 구글 들어갈 때마다 뜨네요 ㅠ ㅠ
처음에는 구글때메 뜨는지도 모르고 철렁 철렁 얘가 왜 이러나 했는데...
구글에서 인 것 같긴 한데.... 왜 지금도 뜰까요 ㅠ ㅠ 무섭게시리...
트로이 목마람서... 사람 무섭게 허네요 ㅠ ㅠ
블로그 주인은 아닙니다만,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를 직접 수동으로 해주시고, 웹브라우저의 임시 인터넷 폴더를 비워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건은 오진이라서 걱정안해도 됩니다.
그리고 백신에서 차단하면 위협이 생길 가능성은 낮습니다.
사용자가 많다보니 영향이 크네요.
Top10에 압도적 1위인 것 같습니다.
그나마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서 다행인 것 같습니다.
진단률이 64%가 넘더군요.ㅎㅎ
어휴, 살았다.
다행이네요. 계속 감시에 잡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