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국내 포털 사이트 다음(Daum)에서 제공하는 Daum 꼬마사전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우 시작 페이지를 고정시킨다는 의견이 있어서 원인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설치시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설치하시는 분들은 자신이 설정한 시작 페이지가 Daum으로 변경되는 현상을 겪게 됩니다.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 화면에 Daum 꼬마사전 바로가기 아이콘과 함께 문제의 Internet Explorer 아이콘 모양의 Daum 바로가기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일부 사용자들이 오해를 하게 되는데, Windows 7 운영 체제를 기준으로 바탕 화면에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 바로가기 아이콘이 기본값으로 생성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Daum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되면서 해당 아이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 문제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Daum 꼬마사전 프로그램을 삭제한 후 바탕 화면에 보면 초기 생성되었던 Daum 꼬마사전 바로가기 아이콘은 정상적으로 삭제가 이루어진 반면에 Daum 바로가기 아이콘은 여전히 삭제되지 않고 존재하게 됩니다.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 자체가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 아이콘과 동일하다보니 사용자는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게 되고, 인터넷 옵션에서 초기 변경되었던 다음(Daum) 시작 페이지를 다른 사이트로 변경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음(Daum) 메인 화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례는 사용자의 오해와 Daum 서비스를 유도하기 위한 업체의 잔머리로 인한 문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이를 통해 설치시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설치하시는 분들은 자신이 설정한 시작 페이지가 Daum으로 변경되는 현상을 겪게 됩니다.
여기에서 일부 사용자들이 오해를 하게 되는데, Windows 7 운영 체제를 기준으로 바탕 화면에는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 바로가기 아이콘이 기본값으로 생성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Daum 바로가기 아이콘이 생성되면서 해당 아이콘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 문제의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 자체가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 아이콘과 동일하다보니 사용자는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게 되고, 인터넷 옵션에서 초기 변경되었던 다음(Daum) 시작 페이지를 다른 사이트로 변경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음(Daum) 메인 화면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사례는 사용자의 오해와 Daum 서비스를 유도하기 위한 업체의 잔머리로 인한 문제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