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이버 지식인 관련 질문을 보던 중 최근에 아직도 Windows XP 초창기에 유행하던 Messenger 서비스를 이용한 메시지를 통해 허위 제품을 유포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먼저 위와 같은 메신저 서비스 알림창을 보지 않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판 - 관리 도구 - 서비스 - Messenger] 항목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하시면 해결이 됩니다.
속성창에서 [시작 유형 - 사용 안 함]으로 설정을 하시면 앞으로 메신저 서비스 알림창 생성이 중지되므로 더 이상의 알림창은 보지 않게 됩니다.
실제 메신저 서비스 알림창에서 제시하는 웹 사이트를 방문해 보았습니다.
국내에서는 허위 레지스트리 최적화 프로그램을 아직 보지는 못하였지만, 해외에는 다수의 허위 제품을 이용하여 금전적 피해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Repair_Registry_Pro.exe] - 실제 다운로드 설치 파일
[RepairRegistryPro.exe] - 설치 파일의 Packer로 진단 못하는 부분이 있어 Packer 해제 후 추출한 파일
Antivirus | Version | Last Update | Result |
AhnLab-V3 | 2008.10.10.1 | 2008.10.10 | - |
AntiVir | 7.8.1.34 | 2008.10.10 | - |
Authentium | 5.1.0.4 | 2008.10.10 | - |
Avast | 4.8.1248.0 | 2008.10.09 | - |
AVG | 8.0.0.161 | 2008.10.10 | - |
BitDefender | 7.2 | 2008.10.10 | Dropped:Application.RepairRegistryPro.A |
CAT-QuickHeal | 9.50 | 2008.10.10 | - |
ClamAV | 0.93.1 | 2008.10.10 | - |
DrWeb | 4.44.0.09170 | 2008.10.10 | - |
eSafe | 7.0.17.0 | 2008.10.08 | - |
eTrust-Vet | 31.6.6139 | 2008.10.09 | - |
Ewido | 4.0 | 2008.10.10 | - |
F-Prot | 4.4.4.56 | 2008.10.10 | - |
F-Secure | 8.0.14332.0 | 2008.10.10 | Rogue:W32/RepairRegistryPro.A |
Fortinet | 3.113.0.0 | 2008.10.10 | - |
GData | 19 | 2008.10.10 | Dropped:Application.RepairRegistryPro.A |
Ikarus | T3.1.1.34.0 | 2008.10.10 | Win32.SuspectCrc |
K7AntiVirus | 7.10.489 | 2008.10.09 | - |
Kaspersky | 7.0.0.125 | 2008.10.10 | - |
McAfee | 5402 | 2008.10.09 | - |
Microsoft | 1.4005 | 2008.10.10 | - |
NOD32 | 3511 | 2008.10.10 | - |
Norman | 5.80.02 | 2008.10.10 | - |
Panda | 9.0.0.4 | 2008.10.10 | - |
PCTools | 4.4.2.0 | 2008.10.09 | - |
Prevx1 | V2 | 2008.10.10 | - |
Rising | 20.65.42.00 | 2008.10.10 | - |
SecureWeb-Gateway | 6.7.6 | 2008.10.10 | - |
Sophos | 4.34.0 | 2008.10.10 | - |
Sunbelt | 3.1.1708.1 | 2008.10.10 | - |
Symantec | 10 | 2008.10.10 | - |
TheHacker | 6.3.1.0.105 | 2008.10.10 | - |
TrendMicro | 8.700.0.1004 | 2008.10.10 | - |
VBA32 | 3.12.8.6 | 2008.10.09 | - |
ViRobot | 2008.10.10.1416 | 2008.10.10 | - |
VirusBuster | 4.5.11.0 | 2008.10.09 | - |
Additional information | |||
File size: 343625 bytes | |||
MD5...: 216638c6a8c6f4e9b8c3b92c047015c8 | |||
SHA1..: 16fd14d60f6611e27d0b1303d3939a42af16c104 |
[RepairRegistryPro.exe] - 설치 파일의 Packer로 진단 못하는 부분이 있어 Packer 해제 후 추출한 파일
Antivirus | Version | Last Update | Result |
AhnLab-V3 | 2008.10.10.1 | 2008.10.10 | - |
AntiVir | 7.8.1.34 | 2008.10.10 | TR/Fraud.RegRepPro |
Authentium | 5.1.0.4 | 2008.10.10 | - |
Avast | 4.8.1248.0 | 2008.10.09 | - |
AVG | 8.0.0.161 | 2008.10.10 | - |
BitDefender | 7.2 | 2008.10.10 | Application.RepairRegistryPro.A |
CAT-QuickHeal | 9.50 | 2008.10.10 | FraudTool.FakeAlert.j (Not a Virus) |
ClamAV | 0.93.1 | 2008.10.10 | - |
DrWeb | 4.44.0.09170 | 2008.10.10 | - |
eSafe | 7.0.17.0 | 2008.10.08 | - |
eTrust-Vet | 31.6.6137 | 2008.10.09 | - |
Ewido | 4.0 | 2008.10.10 | - |
F-Prot | 4.4.4.56 | 2008.10.10 | - |
F-Secure | 8.0.14332.0 | 2008.10.10 | Rogue:W32/RepairRegistryPro.A |
Fortinet | 3.113.0.0 | 2008.10.10 | - |
GData | 19 | 2008.10.10 | Application.RepairRegistryPro.A |
Ikarus | T3.1.1.34.0 | 2008.10.10 | Win32.SuspectCrc |
K7AntiVirus | 7.10.489 | 2008.10.09 | - |
Kaspersky | 7.0.0.125 | 2008.10.10 | - |
McAfee | 5402 | 2008.10.09 | - |
Microsoft | 1.4005 | 2008.10.10 | Program:Win32/FakeAlert.J |
NOD32 | 3511 | 2008.10.10 | - |
Norman | 5.80.02 | 2008.10.10 | - |
Panda | 9.0.0.4 | 2008.10.10 | - |
PCTools | 4.4.2.0 | 2008.10.09 | - |
Prevx1 | V2 | 2008.10.10 | Malicious Software |
Rising | 20.65.42.00 | 2008.10.10 | - |
SecureWeb-Gateway | 6.7.6 | 2008.10.10 | Trojan.Fraud.RegRepPro |
Sophos | 4.34.0 | 2008.10.10 | - |
Sunbelt | 3.1.1708.1 | 2008.10.10 | - |
Symantec | 10 | 2008.10.10 | - |
TheHacker | 6.3.1.0.105 | 2008.10.10 | - |
TrendMicro | 8.700.0.1004 | 2008.10.10 | - |
VBA32 | 3.12.8.6 | 2008.10.09 | - |
ViRobot | 2008.10.10.1416 | 2008.10.10 | - |
VirusBuster | 4.5.11.0 | 2008.10.09 | - |
Additional information | |||
File size: 1802240 bytes | |||
MD5...: 035d4f0c3669d1a0c3a7a7bed332f55a | |||
SHA1..: ff19801f2ad1df6d95072a4d8e132de69370a94d |
위와 같은 메신저 서비스 알림창의 경우는 사용하는 운영 체제의 보안 패치를 적용하지 않음으로 인해 야기된 부분이므로 반드시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시는 분들은 인터넷 연결 전에 서비스 팩을 따로 시디에 복사하여 설치하신 후 인터넷을 연결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으리라 봅니다.
위의 홍보 방식은 상당히 고전적이지만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컴퓨터가 심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으므로 여전히 유용하며 전 세계 어디나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