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울지않는벌새
검색하기 블로그 홈

블로그 홈

울지않는벌새

hummingbird.tistory.com/m

울지않는벌새가 되고 싶은 나..

구독자
72
공지 블로그 연혁 & 연락처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AhnLab V3 Lite 무료 백신에 추가된 SmartBridge 광고 프로그램 자동 설치 (2022.7.2) 최근 바이러스 제로 보안 카페에서 제기된 AhnLab V3 Lite 무료 백신 설치 시 광고 기능이 자동 추가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였습니다. ▷ [바이러스 제로 보안 카페] AhnLab V3 Lite 4.0 설치 시 타사 Smart Bridge 광고 프로그램 설치 확인 (내용 수정) (2022.7.1) 이에 실제 설치되는 방식과 기본적인 광고 동작 방식 및 삭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랩(AhnLab)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AhnLab V3 Lite 무료 백신을 설치할 경우 추가적인 안내 메시지없이 다음과 같은 광고 프로그램을 2022년 4월경부터 자동 설치합니다. C:\Program Files\AhnLab\V3Lite40\sb C:\Program Files\AhnLab\V3L.. 공감수 10 댓글수 3 2022. 7. 2.
  • Microsoft Edge 웹 브라우저 메뉴가 흐릿하게 표시되는 문제 해결법 VMware 가상 환경과 같은 특정 환경에서 Microsoft Edge 웹 브라우저의 메뉴 표시가 흐릿하게 표시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Windows 10 또는 Windows 11 운영 체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지원이 부족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결하기 위해서는 Microsoft Edge 웹 브라우저의 "설정 및 기타 - 설정 - 시스템 및 성능" 메뉴(edge://settings/system)에서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사용" 항목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비활성화한 후 Microsoft Edge 웹 브라우저를 다시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Microsoft Edge 웹 브라우저의 메뉴가 흐릿한 문제 외에도 접속한 웹 사이트..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6. 6.
  • Windows 부팅 시 "장치 설정을 완료합니다." 메시지 뜨는 문제 Windows 10 또는 Windows 11 운영 체제 환경에서 Windows 부팅 중 바탕 화면이 생성되기 직전에 "장치 설정을 완료합니다." 안내 메시지가 가끔씩 뜨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해당 화면에서는 Windows Hello 로그인, Microsoft 365 구독, 휴대폰과 PC 연결, OneDrive로 클라우드에서 파일 백업, 웹 탐색 경험 개선과 같은 설정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끔씩 부팅 과정에서 뜨는 장치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Windows 설정에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Windows 설정의 시스템 메뉴 중 알림 항목에서 "내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 제공" 박스의 체크를 해제하시고 사용하신다면 부팅 중 생성될 수 .. 공감수 3 댓글수 0 2022. 5. 28.
  • Chrome 102 버전 업데이트 후 자음 모음 분리되는 문제 2022년 5월 24일 업데이트된 Chrome 102.0.5005.63 정식 버전 출시를 통해 32개의 보안 취약점 수정과 새로운 기능이 포함되었습니다. 그런데 Chrome 웹 브라우저 업데이트 이후부터 웹 브라우저에 한글로 문자 입력 시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어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문제는 Chrome 웹 브라우저의 모든 사용자에게서 발생하는 문제는 아니며, 한컴오피스 프로그램이 설치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컴오피스 2022 버전이 설치된 환경에서 Windows 11 운영 체제의 경우 한컴 입력기와 Microsoft 입력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만약 한컴 입력기로 선택된 자판으로 Chrome 웹 브라우저에 한글 입력 시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공감수 4 댓글수 1 2022. 5. 27.
  • 티스토리 게시글 수정 시 실패할 경우 해결 방법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에서 오래 전에 작성한 글을 최근 수정한 후 발행하는 과정에서 "게시글을 작성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메시지 창이 생성되면서 저장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메시지 창이 뜬 이후 아무리 저장을 하려고 시도하여도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텍스트로만 작성된 글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사진이 포함된 게시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저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래 전에 작성한 글의 경우 사진이 포함된 게시글을 작성할 당시에 특정 사진을 대표 사진으로 지정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로 보이므로, 게시글의 사진 중 특정 사진을 지정하여 대표 사진으로 지정한 후 저장을 하시면 정상적으로 저장(발행)할 수 있습니다. 공감수 3 댓글수 2 2022. 5. 24.
  • URL Disabler 유틸을 이용한 Magniber 랜섬웨어 자동 다운로드 대응 방법 국내에서 가장 큰 피해를 유발하고 있는 Magniber 랜섬웨어(Ransomware)는 Chrome, Microsoft Edge 웹 브라우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감염 방식을 웹 사이트 접속 시 랜섬웨어 자동 다운로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운로드된 파일을 직접 실행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기존의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 취약점(Exploit) 방식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염에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긴급 업데이트(Critical Update) 파일로 위장한 Magniber 랜섬웨어 파일(.msi) 주의 (2022.3.5) ▷ Installer 앱 제거 시 Magniber 랜섬웨어의 재실행 방식 (2022.4.24) 이런 공격 방식은 최신 보안 업데이트를 하였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공감수 6 댓글수 2 2022. 5. 22.
  • Installer 앱 제거 시 Magniber 랜섬웨어의 재실행 방식 2021년 12월 21일경부터 Magniber 랜섬웨어(Ransomware)의 새로운 유포 방식으로 Chrome, Microsoft Edge 웹 브라우저 사용자를 대상으로 웹 사이트 접속 중 .appx 또는 .msi 파일 확장명을 가진 실행 파일을 자동 다운로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실행을 유도하는 방식에 대해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적이 있었습니다. ▷ 긴급 업데이트(Critical Update) 파일로 위장한 Magniber 랜섬웨어 파일(.msi) 주의 (2022.3.5) 당시 Magniber 랜섬웨어가 설치 파일(.appx / .msi)을 이용하면서 일반적인 설치형 프로그램처럼 프로그램 목록에 자신을 등록하고 있었습니다. ■ .appx 설치 파일 사례 (2021년 12월 ~ 2022년 2월) ▷ 최신.. 공감수 3 댓글수 7 2022. 4. 24.
  • Daum 비즈니스 회원 로그인을 유도하는 피싱 메일 (2022.4.20) 최근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 메일을 통해 Daum 비즈니스 회원 로그인 페이지로 위장한 피싱(Phishing)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여 로그인을 하도록 하는 메일이 확인되었습니다. ▷ 다음(Daum) 계정을 노리는 "Duam Customer Care" 피싱 메일 주의 (2018.3.25) ▷ 다음(Daum) 계정을 노리는 "Critical alert for your account ID" 피싱(Phishing) 메일 주의 (2019.11.15) ▷ 다음(Daum) 이메일 해지 경고 메일을 통한 계정 정보 수집 주의 (2020.3.3) ▷ 다음(Daum) 메일 보류 경고 알림 메일을 통한 계정 정보 수집 메일 주의 (2021.7.22) ▷ 이미지 클릭 시 연결되는 다음(Daum) 피싱.. 공감수 2 댓글수 4 2022. 4. 20.
  • Windows Server 환경에서 원격 지원 시 보안 및 자바스크립트 문제 해결 방법 Windows Server 운영 체제는 기본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사이트 접속 시 보안 정책상 제약이 있으며 이로인하여 원격 지원을 위한 사이트 접속 중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현재의 보안 설정 때문에 이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없는 경우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원격 지원을 위한 사이트에서 파일 다운로드를 하려고 할 경우 보안 경고창을 통해 "현재의 보안 설정 때문에 이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없습니다." 메시지 창이 뜰 수 있습니다. ▷ 보안 설정으로 인한 다운로드 불가 현상 해결방법 (2009.3.27) 시스템 환경에 따라서는 이전에 소개한 인터넷 영역의 파일 다운로드 설정 변경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원격 지원 사이트를 신뢰 사이트로 등록하는 방법도 존재합니다. 인터.. 공감수 2 댓글수 0 2022. 4. 10.
  • FullEventLogView 도구를 이용한 원격지 PC의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NirSoft 제작자는 포터블(Potable) 방식으로 다양한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무료로 오랫동안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FullEventLogView 도구는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제공하는 이벤트 뷰어를 통해 확인 가능한 다양한 로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기본적으로는 FullEventLogView 도구가 실행되고 있는 PC에 기록된 이벤트 로그를 확인할 수 있지만, 원격지 컴퓨터의 이벤트 로그를 볼 수 있는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으므로 간단하게 이용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ile (파일) - Choose Data Source (데이터 소스 선택)" 메뉴를 선택하여 상단의 선택 항목에서 "Load events from the specified .. 공감수 3 댓글수 0 2022.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