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프로그램의 설치 파일(MD5 : aa82f5201d44a22889ba7afa31f8d332)에 대하여 Kaspersky 보안 제품에서는 Trojan-Downloader.Win32.Genome.ayiv (VirusTotal : 7/41) 진단명으로 진단되고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Windows 시작시 WizPop.exe 파일을 시작 프로그램으로 등록하여 자동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WizPop.exe 네트워크 연결 정보]
GET /core/ver/update_i001.html HTTP/1.1 User-Agent: WizPop Host: wiz***.co.kr
WizPop.exe 파일은 update_i001.xml 파일을 체크하도록 되어 있으며, 테스트에서는 추가적인 다운로드 동작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windoc.exe(MD5 : ded15f66a6bec139132bf42becebb1e3)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windoc.exe 파일은 하우리 바이로봇(Hauri ViRobot) 보안 제품에서 Adware.Windoc.105472 (VirusTotal : 8/42) 진단명으로 진단되고 있으며, 해당 파일은 추가적으로 win32proc.exe(MD5 : 07b0a2e5770591d549d348f0f9b1b260) 파일을 다운로드하도록 제작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win32proc.exe 파일에 대해서는 안철수연구소(AhnLab) V3 보안 제품에서 Downloader/Win32.Agent (VirusTotal : 12/42) 진단명으로 진단되고 있습니다. 위즈팝(WizPop) 프로그램의 기본 동작은 사용자가 인터넷 상에서 특정 검색어를 입력할 경우 1차적으로 시스템 트레이 상단에 관련 광고 팝업창이 생성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국내 웹하드 사이트가 추가적으로 열리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기능 관리 : 도구 모음 및 확장 프로그램]
위즈팝 - 게시자 : 알 수 없음 - CLSID : {7BEB7C1E-2A86-4217-B3B2-B2ADACF0CB04} - 파일 : C:\Program Files\WizPop\WizPop_Helper.dll
프로세스 정보를 살펴보면 WizPop.exe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상주하며,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실행할 경우 iexplore.exe 프로세스에 WizPop_Helper.dll 파일을 BHO 방식으로 추가하여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삭제 전에는 작업 관리자에서 WizPop.exe 프로세스를 수동으로 종료한 후, 열려진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