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최근 네이트온(NateOn) 메신저를 이용하여 특정 링크를 친구에게 전달하여 해당 링크를 클릭한 사용자의 PC 환경이 보안 패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감염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이번 시간에는 네이트온 악성코드 감염시 어떤 악의적인 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와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서 인터넷이 되지 않는 문제를 수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임시 해결책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특히 이번 시간에는 네이트온 악성코드 감염시 어떤 악의적인 동작이 발생하는지 여부와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서 인터넷이 되지 않는 문제를 수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임시 해결책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네이트온 악성코드 유포에 대한 부분은 기존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악성코드 유포 경로]
h**p://xind***.com/1.html
ㄴ h**p://xind***.com/0.js :: F-Prot : JS/ShellCode (VirusTotal : 5/42)
ㄴ h**p://xind***.com/1.js :: Microsoft : Exploit:JS/Mult.CR (VirusTotal : 2/41)
ㄴ h**p://xind***.com/2.js
ㄴ h**p://xind***.com/3.js
ㄴ h**p://www.zioro****.com/dasg/g123.exe
h**p://xind***.com/1.html
ㄴ h**p://xind***.com/0.js :: F-Prot : JS/ShellCode (VirusTotal : 5/42)
ㄴ h**p://xind***.com/1.js :: Microsoft : Exploit:JS/Mult.CR (VirusTotal : 2/41)
ㄴ h**p://xind***.com/2.js
ㄴ h**p://xind***.com/3.js
ㄴ h**p://www.zioro****.com/dasg/g123.exe
사용자가 특정 URL 링크를 클릭할 경우 사용자의 눈에는 다음과 같은 자극적인 여성의 사진이 노출됩니다.
참고로 g123.exe 파일에 대하여 알약(ALYac) 2.0 Sophos 엔진에서는 Mal/EncPk-CK (VirusTotal : 20/42) 진단명으로 진단되고 있습니다.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된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은 2개의 악성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WINDOWS\FXSST.dll (MD5 : 7aed03cac77d5049b66060709710ab52)
- C:\WINDOWS\system32\V3lght.dll (MD5 : 19fa38caa9bd851f15552d3157368577)
1. 네이트온 메신저 계정 탈취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작업 관리자 불능, 보안 제품 무력화, Internet Explorer 오류로 인한 인터넷 불능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면서 네이트온 메신저 로그인시 계정 정보를 탈취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Internet Explorer 동작 방해
악성코드 감염시 보안 제품 무력화를 통해 자신의 진단을 방해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보안 패치를 설치하는 것을 방해할 목적으로 Internet Explorer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지 않도록 변조를 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경우 사용자가 보안 업체 신고, 인터넷을 통한 문제 해결 등을 위해 임시적으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Process Explorer, 7-Zip 기능을 이용하여 소개를 하겠습니다.(※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최대한 나머지 프로그램은 모두 종료를 한 상태에서 진행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Process Explorer를 이용하여 explorer.exe 프로세스에 추가되어 동작하는 프로세스를 찾아 네이트온 악성코드로 인해 생성된 파일을 찾습니다.
참고로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된 경우 윈도우 작업 표시줄이 사라지므로 오해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7-Zip File Manager 기능을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폴더 옵션에서 숨김 파일,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이 보이도록 설정을 하지 않아도 기본값으로 표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해당 V3lght.dll 파일은 explorer.exe 프로세스 이외에 7-Zip 프로세스 등 다수의 프로세스에 추가되어 동작하므로 현재 상태에서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비록 파일 확장자를 변경하여도 현재 7-Zip 프로세스에 추가되어 있으므로 파일 삭제는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위와 같은 절차 이후에 Internet Explorer를 실행하시면 정상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실 수 있으며, 반드시 사용하시는 보안 제품을 최신 DB 업데이트를 통해 정밀 검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보안 제품을 통한 검사 후에는 네이트온 계정 정보(비밀번호)를 반드시 변경하여 외부에서 악의적으로 이용하는 일이 없도록 예방을 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