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새::Analysis

"추미애 국고손실죄 공동정범" 한글 문서가 포함된 정보 유출 악성코드 주의 (2020.11.28)

728x90
반응형

최근 네이버 카페 게시글로 유포된 것으로 알려진 악성코드는 인기있는 소프트웨어 관련글로 소개하면서 첨부 파일 다운로드를 유도하여 감염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Cardano et al. - 2020 - _NIPoPoW with LiteCoin.pif" 악성 파일 모습

악성 파일명 : Cardano et al. - 2020 - _NIPoPoW with LiteCoin.pif
SHA-1 : c05525e0503fadab848c88b19604385c596f3982
진단명 : Trojan:Win32/AgentTesla!ml (Microsoft)

다운로드한 파일은 LiteCoin 관련 파일명을 가진 "MS-DOS 프로그램으로 바로 가기(.pif)"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파일을 실행할 경우 다음과 같은 외형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도 자료 : 추미애 검찰국장 고발" 한글 문서

실행된 악성 파일은 "C:\Users\%UserNam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추미애 국고손시로지" 폴더를 추가 생성한 후 내부에 한글 문서 파일(추미애 국고손실죄 공동정범.hwp)을 생성하여 자동으로 오픈합니다.

 

한글 문서 정보

참고로 해당 문서는 기존에 "조국 전 민전수석 고발 기자회견"이라는 제목으로 작성하였던 문서를 재활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폴더명과 문서 정보의 제목에 작성된 한글이 일부 오타가 있는 것으로 보아 국내 사정을 잘 알면서 해외에서 활동하는 악성코드 제작자가 활용한 것인 아닌가 의심됩니다.

 

chroem.exe 악성 파일 모습

C:\Users\%UserNam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chroem
C:\Users\%UserNam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chroem\chroem.exe

실행된 악성 파일은 자기 자신을 시작프로그램 폴더 내에 chroem 폴더를 추가 생성한 후 내부에 chroem.exe 파일을 추가하여 실행합니다.

 

감염자 IP 정보 체크

실행된 악성 파일은 1차적으로 감염 PC의 IP 정보를 체크하여 위치를 확인하게 됩니다.

 

chroem.exe 악성 파일 레지스트리 추가 모습

실행된 chroem.exe 악성 파일은 자신의 기능 수행 목적으로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InstallUtil.exe" 정상 파일을 추가 로딩하여 코드 인젝션을 통해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반복적으로 chroem.exe 악성 파일이 Windows 부팅 시 자동 실행할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레지스트리 등록을 시도합니다.

REG  ADD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f /v "chroem" /t REG_SZ /d "C:\Users\%UserNam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chroem\chroem.exe"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 chroem = C:\Users\%UserName%\AppData\Roaming\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chroem\chroem.exe

chroem.exe 악성 파일의 InstallUtil.exe 파일 자동 실행

또한 일정 주기마다 InstallUtil.exe 정상 파일을 추가 로딩할 목적으로 "C:\Users\%UserName%\AppData\Local\Temp\<Random>.bat" 파일을 임시 생성하여 InstallUtil.exe 파일 실행 후 .bat 배치 파일을 자동 삭제 처리합니다.

 

".NET Framework installation utility" 오류 메시지 창

테스트 상에서는 악성코드 동작 과정에서 ".NET Framework installation utility" 오류 메시지가 반복 출력될 수 있습니다.

 

만약 정상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면 ① 시스템 정보(안티바이러스, 방화벽, 네트워크 정보, 프로세스 정보 등) ② Chrome, Firefox, Internet Explorer, Opera, Yandex 웹 브라우저 로그인 데이터 수집 ③ FileZilla, WinSCP 프로그램 데이터 수집 ④ 스크린 샷 ⑤ 키로깅 등의 다양한 악의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숨김(H) 폴더 속성을 가진 "C:\Users\%UserName%\AppData\Roaming\Logs" 폴더를 생성한 후 내부에 "<월>-<일>-<년도>" 파일명을 가진 암호화된 파일을 생성하여 외부로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ISO 가상 이미지 파일이 첨부된 카탈로그 악성 메일 유포 주의 (2020.7.4)

 

예전에 메일을 통해 첨부된 ISO 가상 이미지 파일 내 존재하는 악성 파일을 실행할 경우 위와 유사한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가 존재하였으며 이번에도 유사한 계열의 악성코드로 보이므로 네이버 카페에 등록된 첨부 파일 다운로드 시 실행에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